리뷰와 팁/생활 정보

2022년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구간 금액 총정리

정부가 발표하는 기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 소득을 소득 순서대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는 2022년 중위소득을 통해서 각종 경제 지표를 반영한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산출해 발표하고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 정책에서 수급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2022년 기준 중위소득의 구간별 금액과 기준 중위소득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2022년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아래는 2022년 기준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각 가구원수별로 구간별 금액이 다르게 적용되어 있습니다.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발표한 가구원 수에 따른 2022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 (1인) 194만 4,812원
  • (2인) 326만 85원
  • (3인) 419만 4,701원
  • (4인) 512만 1,080원
  • (5인) 602만 4,515원
  • (6인) 690만 7,004원

위 금액은 2022년 기준으로, 매년 조금씩 변동될 수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아래표를 확인하세요.

기준 중위소득 %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7인 가구 8인 가구
기준중위소득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7,780,592 8,654,180
30% *생계급여 수급기준 583,444 978,026 1,258,410 1,536,324 1,807,355 2,072,101 2,334,178 2,596,254
40% *의료급여 수급기준 777,925 1,304,034 1,677,880 2,048,432 2,409,806 2,762,802 3,112,237 3,461,672
46% *주거급여 수급기준 894,614 1,499,639 1,929,562 2,355,697 2,771,277 3,177,222 3,579,072 3,980,923
50% *교육급여 수급기준 972,406 1,630,043 2,097,351 2,560,540 3,012,258 3,453,502 3,890,296 4,327,090
60% 1,166,887 1,956,051 2,516,821 3,072,648 3,614,709 4,144,202 4,668,355 5,192,508
70% 1,361,368 2,282,060 2,936,291 3,584,756 4,217,161 4,834,902 5,446,414 6,057,926
80% 1,555,850 2,608,068 3,355,761 4,096,864 4,819,612 5,525,603 6,224,474 6,923,344
90% 1,750,331 2,934,077 3,775,231 4,608,972 5,422,064 6,216,303 7,002,533 7,788,762
100%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7,780,592 8,654,180
110% 2,139,293 3,586,094 4,614,171 5,633,188 6,626,967 7,597,704 8,558,651 9,519,598
120% 2,333,774 3,912,102 5,033,641 6,145,296 7,229,418 8,288,405 9,336,710 10,385,016
130% 2,528,256 4,238,111 5,453,111 6,657,404 7,831,870 8,979,105 10,114,770 11,250,434
140% 2,722,737 4,564,119 5,872,581 7,169,512 8,434,321 9,669,806 10,892,829 12,115,852
150% 2,917,218 4,890,128 6,292,052 7,681,620 9,036,773 10,360,506 11,670,888 12,981,270
160% 3,111,699 5,216,136 6,711,522 8,193,728 9,639,224 11,051,206 12,448,947 13,846,688
170% 3,306,180 5,542,145 7,130,992 8,705,836 10,241,676 11,741,907 13,227,006 14,712,106
180% 3,500,662 5,868,153 7,550,462 9,217,944 10,844,127 12,432,607 14,005,066 15,577,524
190% 3,695,143 6,194,162 7,969,932 9,730,052 11,446,579 13,123,308 14,783,125 16,442,942
200% 3,889,624 6,520,170 8,389,402 10,242,160 12,049,030 13,814,008 15,561,184 17,308,360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기준 2022년 중위소득 확인방법

건강보험료는 가구 소득수준, 재산 등을 반영하여 개인별로 납부액이 결정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건강보험료를 통해 2022년 중위소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조회 바로가기

기준 중위소득 금액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 중위소득 확인

가구원수 소득기준​기준 중위소득 100%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3,260,000 114,816 103,218 115,672
3인 4,195,000 147,798 144,703 149,666
4인 5,121,000 180,075 187,618 182,739
5인 6,025,000 212,712 229,170 216,279
6인 6,907,000 244,759 269,412 249,469
7인 7,781,000 272,614 303,435 279,532
8인 8,654,000 307,505 342,082 319,763

예를 들어 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 중 기준 중위소득 100%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2인 가구에서는 326만 85원까지, 3인 가구에서는 419만 4,701원까지의 소득을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로 인정합니다.

이는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는 개인이 기준 중위소득의 몇 %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활용 급여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 정책에서 수급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거나 다양한 복지정책의 기준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보장제도, 주거급여, 국민연금, 의료보험, 국가보훈 등에서 기준 중위소득을 활용하여 수급자를 선정합니다.

 

또한 기준 중위소득을 활용하여 자신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이 어느 정도의 소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자신의 가계상황을 파악하여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는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각 급여의 수급자를 선정하는데요. 비율은 아래와같습니다.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2022년 중위소득을 사용하는곳은 다양한 급여에도 있습니다.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하며, 가구별 선정기준액에서 해당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차감한 금액을 지원하고있습니다.

2022년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의료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하며,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자 본인 부담 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하고 잇습니다.

2023년 공무원 봉급표 바로가기

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46%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임차가구는 전월세비용을 지원하고, 자가가구는 낡은 집을 고쳐드립니다.

임차가구는 지역 및 가족 수에 따라 산정한 '기준임대료'를 상한으로 실제임차료를 지원하며, 자가가구는 주택 노후도에 따라 보수범위(경/중/대보수)를 구분해 주택 수선비용을 지원합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2022년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 소득을 소득 순서대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하며, 2022년 기준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원수에 따라 구간별로 금액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등을 통해 건강보험료를 통해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을 활용하여 자신의 가계상황을 파악하고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정책을 지원하는데 참고하시길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