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해킹 후 회원가입 탈퇴, 비활성화 방법 초간단 정리
나는 트위터를 잘쓰지않는다. 예전에 뭐때문인지 이유가있어서 트위터 가입 한후에는 계속해서 그냥 방치해두었었다. 그러던 어느날 여김없이 네이버를 로그인했는데, 낯선 메일이 하나와있었다. 내용은 최근 트위터 내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있는 기록이 확인되었다는 거다.
나는 파이어폭스를 사용하지도 않을뿐더러, 트위터를 사용 한적도 없었는데 로그인 기록이라니, 해킹 의심이 들어 곧바로 지금 비밀번호 재설정 버튼을 눌러 비밀번호를 바꾸고, 로그인을 해보았다.
트위터 탈퇴 : https://twitter.com/settings/accounts/confirm_deactivation
내 계정에 들어가보니 약 2분전에, 누군가 내 아이디로 불법 게시물을 올려놨더라. 해킹이 맞았다. 곧바로 해당 글을 삭제한후, 트위터 회원 탈퇴를 하기로했다. 어차피 사용하지도 않을 트위터인데, 이렇게 해킹까지 당하고나니 더 불안했기때문이다.
간단히 알아보니 페이스북과 비슷한 개념으로, 트위터는 회원탈퇴가 바로는 없고 계정을 비활성화하고 약 30일간은 복구가 가능하다고한다. 홧김에 회원 탈퇴를 해서 후회하는 사람이 없게 하기위함인가? 아무튼 트위터 계정 상세영역에서 찾을수있는데 번거로우니 위의 링크를 통해서 트위터 회원 가입 탈퇴가 가능하다.
나의 경우에는 트위터 해킹을 당해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한후 였기때문에 탈퇴까지 결심하는건 정말쉬웠다. 위를 통해서 트위터 비활성화를 해놓고, 30일후에 완전히 계정삭제가 된다고한다. 추가로 글을 쓰자면 놀랍게도 이렇게 비밀번호를 바꾸고 비활성화를 한 직후 그날 새벽에도 내 아이디가 또다시 해킹을 당했었다. 너무 소름이 끼쳤지만, 다시 한번 비밀번호를 바꾸고, 비활성화를 했다.
만약 그사이에 로그인을 다시하면 비활성화가 풀리는듯하니, 계정삭제가 되었는지는 30일 후에 확인해봐야할것같다. 이상으로 트위터 해킹당한후 곧바로 회원 탈퇴하기위해 비활성화 했던 후기다. 여러분들도 안쓰는 계정은 곧바로 비활성화나 탈퇴하는 습관을 가지는게 좋을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