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컴퓨터에는 몇 가지 주요 무료 보안프로그램들을 설치해 놓곤 합니다 윈도우의 기본 방화벽 프로그램은 물론, 안랩사의 V3 Lite버전, 혹은 알약을 기본 백신프로그램으로 설치해 놓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종종 알약에는 바이러스로 감지되는 KMSActivator라는 핵툴이 발견되곤 하는데 이 프로그램은 이러한 백신프로그램으로 발견이 되어서 삭제를 해도 또다시 생겨나는 프로그램입니다.
알약 바이러스 검색, Misc.HackTool.KMSActivator
아래에서는 악성코드로 뜨는 프로그램들이 대체 어떤 툴인지 궁금한 유저들이 많기에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Misc.HackTool.KMSActivator
알약 프로그램에서는 실시간 감시를 사용하는데 기본세팅인데, 이렇게 실시간 감시를 사용 중에 있다면 우측 하단에 Misc.HackTool.KMSActivator라는 악성코드가 몇 개 잡혔다고 뜨는 유저들이 아마 이 포스팅을 검색해보지 않을까
misc.hacktool 시리즈는 오토런이라던 액티베이터라던가 여러 개의 버전이 있는데, 그중 KMS액티베이터는 윈도우 정품을 위한 툴을 설치했을 경우에 뜬다고 합니다
알약 검색 제외하기
평소에 위와 같이 사용자 지정영역을 검사했을 때는 특별히 잡히지는 않는 프로그램이지만, 무슨 이유에서든지 갑작스럽게 팝업이 뜨는 편입니다.
PC를 사용하는 데에는 실제로 문제가 되지 않더라도 알약프로그램에서는 악성코드로 인식해서, 계속해서 문제를 리포트 해주기 때문에 misc.hacktool.KMSactivator를 알약이나 V3에서 잡아내기에 만약 이 팝업을 더 이상 받아보고 싶지 않다면 치료를 하는 게 아니라 검색 제외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보안상 절대 이로운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윈도우 정품인증 툴을 설치한 유저가 이를 계속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외해야 한다는 건데, 보안상 큰 취약점이 될 수도 있으니 윈도우를 재설치하고 정품으로 인증하는 것을 추천하는 바입니다. 이상으로 알약에 바이러스로 잡히는 Misc.HackTool.KMSActivor 악성코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