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용해서 검색노출 반영 등록하는 방법!
다시 블로그를 열심히하다보니 자연스레, 방문자수가 늘어났다. 그리고 내가 올린 글이 얼마나 검색순위가 잘나타나는지도 궁금해져서 지난번처럼 블로그차트와같은 사이트를 통해서 찾아보기도하고있다. 그러던 도중, 언젠가부터, 글을 올려도 내 블로그 글이 하나도 노출이 안되는걸 발견했다. 노출이 되긴하는데, 티스토리가 그런걸까. 한 3일정도가 지나야 검색반영이 되는 일도 생겼다. 어떤경우에는 검색반영이 누락되기도하고..
사실 예전에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통해 검색노출반영과 RSS를 등록을 했었는데, 알고리즘이 바뀐걸까.
아무튼 등록이 안되어 원인을 파악해보기로했다. 사실 내가 바꾼건 아무것도 없지만, 오류때문에 이런경우가 종종생기기도하는것같다.
방법은 가장간단하다. 우선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검색해서 최상단의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공식사이트로 들어간다. 그리고나서 로그인을 하면되는데 일반적으로 웹마스터도구를 처음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아무런 URL이 등록이 안되어있을텐데 자신의 블로그 URL을 간단하게 등록하면된다.
그러고나면 위 사진처럼, 내 블로그 URL이 뜨게되는데, 해당 URL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클릭할 수있게되며 웹마스터도구 최신소식 페이지로 이동하게된다.
여기서는 다양한 정보들을 볼수있고, 특히 웹마스터도구에서 HTML등록을 통해서 소유인증까지하게되면 훨씬더 상세한 정보들을 볼수있게된다. HTML파일을 다운받아서 티스토리 블로그 등에 업로드를 하면 된다는데 나는 지속적으로 오류가 떠서 head부분에 meta 주소를 붙여넣기해서 인증하는 방식으로 인증을 했다.
오늘 날짜로 보자면, 수집이 14건이 일어나고있다. 지금상태는 매우 정상적으로 수집이 되고있다는것.
수집을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려면 가장 기본적으로 RSS등록을 해야하는데 웹마스터도구의 요청 시트로들어가서 rss제출을 누른다. 그후 내블로그 url 뒤에 /rss 만 붙여서 등록을 하면 간단하게 RSS등록을 할 수 있게된다. 웹마스터도구를 통해서 rss등록하는 건 정말 식은죽 먹기 사실 rss가 뭔지는 나도 자세히는 모르지만 수시로 업데이트 하는 정보가 올라오는.. 주소랄까.
네이버에 rss등록을 해놓으면 새로운 글이 올라올시 블로그봇이 해당 글 내의 검색어를 수집해서 수시로노출할수있도록 도와주는 그런 시스템이라고한다. 사실 자세한건 모르나 rss등록은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는 사람이라면 필수이다. 네이버 블로그의 경우에는 별다른 조치를 하지않더라도 잘 수집하는 편이지만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는 네이버에서 정말 검색 노출을 잘 안시켜주는 편이기때문에 이렇게 수동으로 꼼꼼히 체크를 해야한다.
rss등록을 하더라도 바로바로 반영이되는건 아니고 보통 30분에서 1시간정도 기다리고나면 네이버에서 검색이 되는편이다. 지금은 위사진처럼 검색 노출수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편이지만, 아래사진을 봐보면 예전에는 정말 수집이 안되는 것을 볼수있다.
요청> 웹페이지 수집으로들어가면 내 URL뒤의 숫자만 입력하면 바로바로 검색봇이 내 블로그 글을 수집해서 검색노출할수있도록 수동입력하게할수있는데, rss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다면 시간이 흐르면 자동적으로 검색어로 나타나겠지만 그렇지 않고 오랫동안 안뜨는경우라면 직접 입력을 해줘야한다.
하지만, rss가 제대로 등록이 안되어있다던가 사이트맵이 엉켜있다면 위 사진처럼 정말 연속적으로 수집실패가 뜨게된다. 이런경우는 방금 앞에서 언급한것처럼 rss를 삭제하고 재 제출한후 rss가 제대로 수집되고있는지 다시금 확인해봐야한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의 사이트 최적화 시트를 클릭하고나면 검색 로봇 수집이 제대로 블로그 정보를 수집하고있는지를 볼수있는데 rss가 위처럼 초록색 체크로 정상적으로수집되고 있어야한다. 더빠르게 원활하게 검색로봇이 내 블로그를 수집하고 검색노출을 원활하게 하기위해서는 사이트 맵까지 함께 제출하는게좋은데 이건 다음번에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로봇 텍스트와 메타태그는 물론이고 사이트맵과 rss와 그외 모든 기타 사이트가 최적화가 되었을때 티스토리에서도 그나마 가장 검색 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고 볼수있을것같다.
티스토리 블로그 복사방지, 오른쪽 클릭 금지 스크립트 삽입하기